다문화 사회의 의의
1. 다문화 사회가 되면서 풍성해진 문화는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여 주고 타 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키워 줌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킨다.
2. 국제결혼 이주자가 증가하면서 농촌 지역에 활력이 생기고 저출산 문제 해소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3. 외국인 노동자가 많이 들어오면서 우리 사회의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는 등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 다른 문화의 관점에서 우리 문화를 되돌아봄으로써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서로 존중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다.
5. 다른 나라의 인권 보호 제도나 시민 문화를 배움으로써 시민 의식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며 우리 사회의 개방성과 다양성을 높이고 개인의 창의성을 증진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문화 상대주의와 문화 절대주의의 의미, 사례
문화 상대주의 : 한 문화를 그 문화가 발생한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이해하면서 다른 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사례)그리스에는 다같이 낮잠을 자는 문화가 있다.
더운 지방이라 햇빛이 쨍한 시간에는 일을 하기 어렵고 일을 해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문화 절대주의 : 한 문화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문화를 부정하려는 태도( 문화 사대주의, 자문화 중심주의)
사례)맨 손으로 식사하는 문화를 보고 야만적이라거나 비위생적이라며 깍아내리는 경우이다.
사례)
아프리카 마사이 족 반가운 사람에게 침을 뱉으며 인사하는 문화
아프리카 마사이 족은 귀한 물을 발라주며 상대를 축복하는 의식이 있다.
문화 상대주의 - 물이 귀한 환경을 생각해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문화 절대주의 -인사는 허리를 숙여 공손히 해야 하는데 침을 뱉는 것은 공손하지 않다.
보편적 가치에 근거하여 성찰이 필요한 자문화, 타문화 이유
보편적 가치 - 사람이 사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통하는 공통된 가치나 기준
자문화 : 연고주의 -관계를 우선시하는 문화 (지연, 학연, 혈연)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가로막고 부정부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간관계에서 지연, 학연, 혈연을 중시하는 우리 문화는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따듯한 인간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그러나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방해하거나 비리와 부패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집단의 배타성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문제가 생기거나 위화감이 조성되기도 한다.
타문화 : 어떤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운전이 금지되어 있는 문화
여성의 성 평등과 자유권을 침해한 사례로 보편적 가치에 근거하여 비판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다문화 사회의 우리 사회 속 문화적 갈등 사례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하거나 언어 때문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사례) 키가 작고 피부색이 다르며 한국말이 좀 서툴다는 이유로 친구들이 놀립니다. 비록 어머니가 외국에서 왔지만 우리 가족은 분명 한국인입니다.
다문화 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한 방법
1. 다른 문화에 열린 마음을 가지며 우리와 다른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닌다.
2. 이주민들을 따뜻하게 대하는 친구나 이웃이 되어 주어야 한다.
3. 국가와 사회에서는 이주민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생계와 교육과 취업을 위한 각종 지원 활동을 한다.
'아이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 전통악기 팔음분류법 (4) | 2024.11.04 |
---|---|
가보고 싶은 나라 영작_이집트 (3) | 2024.10.30 |
용인외대부고 면접 준비 고려 사항 (0) | 2024.09.13 |
용인외대부고 자기소개서 작성 유의 사항 (2) | 2024.09.12 |
동탄국제고등학교 2025학년도 입학설명회 일정 안내 (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