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들 교육

음악 전통악기 팔음분류법

by 해방마마 2024. 11. 4.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전통악기는 어떻게 분류할까요?

국악기는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분류합니다. 

 

첫째,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로 향부 악기, 당부 악기, 아부 악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향부 악기는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전통적인 재래 악기를 의미합니다.

당부 악기는 중국의 속악기를 비롯하여 외국에서 수입된 악기들을 가리킵니다.

아부 악기는 고려 예종 시기에 송나라에서 수입된 대성 아악기를 포함하여 중국 고대 아악에 사용되었던 악기들을 의미합니다. 

 

둘째, 연주법에 의한 분류로 악기의 소리 내는 방식에 따라 나눕니다. 

관악기는 바람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예: 피리, 대금 등)

타악기는 두드리거나 치는 방식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예: 장구, 꽹과리 등),

현악기는 줄을 긋거나 튕겨서 소리를 내는 악기(예: 가야금, 거문고 등)로 분류됩니다.

 

셋째, 악기 제작 재료에 의한 분류입니다. 이 방식은 악기가 제작된 재료에 따라 구분합니다.

오늘은 악기가 만들어진 8가지 재료에 따라 분류하는 팔음분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팔음 분류법으로 우리나라 악기 구별하기

 

1. 금(金) – 금속으로 만든 악기

  • : 큰 원판 모양의 타악기
  • 꽹과리: 작은 원형의 금속 타악기
  • 나발: 금속으로 만든 긴 나팔형 악기

2. 석(石) – 돌로 만든 악기

  • 편경: 돌로 만든 타악기, 여러 개의 돌 조각을 매달아 음을 냄

3. 사(絲) – 현(줄)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

  • 가야금: 12개의 줄을 뜯어서 연주하는 현악기
  • 거문고: 6줄로 이루어진 현악기
  • 해금: 두 개의 줄을 활로 문질러 연주하는 악기

4. 죽(竹) – 대나무로 만든 악기

  • 대금: 큰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
  • 소금: 작은 대나무 관악기
  • 단소: 짧은 대나무 관악기
  • 피리: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 부드러운 음색

5. 포(匏) – 박으로 만든 악기

  • 생황: 박으로 만든 공명통과 여러 개의 죽관으로 이루어진 관악기

6. 토(土) – 흙으로 만든 악기

  • : 흙을 구워 만든 피리형 악기

7. 혁(革) – 가죽을 씌운 악기

  • : 가죽을 팽팽하게 씌워 양쪽을 두드리는 타악기
  • 장구: 한쪽은 가죽을 손으로, 다른 쪽은 채로 두드림

8. 목(木) – 나무로 만든 악기

  • : 박수를 유도할 때 사용하는 타악기
  • 축: 의식용 나무 타악기, 나무 상자를 쳐서 소리를 냄